sherwood 2008. 12. 5. 04:56

여인열전⑤

극심한 침체를 극복한 여인

한나

본문읽기

삼상1.1-2.11/시 113.7-9 참조

 

신원조회

이름 뜻: 은혜, 특혜. 엘가나의 두 아내 중 한 사람. 남편의 사랑을 받았으나 아기를 생산치 못함. 후에 사무엘을 낳아 나실인으로 바침.

 

은혜 체험

 

한나의 삼중고

한나는 삼중고를 겪고 있었습니다. 1)역사상 가장 긴장이 높았던 시대에 산 여인. 한나가 살던 시대의 이스라엘은 실로의 성막을 중심으로 12지파가 모인 부족연합체에 불과했습니다. 주변의 침입자들은 이 지파 저 지파를 번갈아가며 괴롭혔습니다. 2)극도의 신앙 부패기를 살았던 여인. 나라만 어지러웠던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종교생활은 무능한 제사장 엘리와 그 아들들의 전횡으로 그 기강이 땅에 떨어진 시기였습니다. 3)한나는 석녀(石女)로서 무자의 고통을 심하게 겪었습니다(1.6-7 참조). 당시 자녀, 특히 아들은 언약의 메시아(여자의 후손)를 생산하는 고리로 간주됐습니다.

 

한나의 침체

한나의 괴로움은 남편 엘가나가 매년 한 번씩 실로로 올라가서 제사를 드리는 때에 극에 달했을 것입니다. 한나의 무자로 인해 첩으로 맞아들인 것으로 보이는 브닌나는 자기가 나은 아이들을 앞세우고 당당히 실로로 올라갔을 것입니다. 라마다임에서 실로까지 이르는 약 16km의 길을 걸으면서 한나는 비통함을 이기지 못했을 것입니다. 한나는 이러한 스트레스 때문에 침체(depression)에 빠지고 맙니다. 그리고 한나의 침체는 남편 엘가나의 질문에서 잘 나타납니다. “"여보, 왜 울기만 하오? 왜 먹지 않으려 하오? 왜 늘 그렇게 슬퍼만 하는 거요?”(8b절). 많은 심리학자들은 침체의 증후로서 권태, 내향성, 수면 형태 변화, 식습관 변화, 울음 조절 실패, 슬픔, 이렇게 7가지를 듭니다. 한나는 이 목록에서 벌써 3가지(울음을 조절 못하고 있다, 먹지 않으려 하고 있다, 늘 슬퍼하고 있다) 현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나의 기도

브닌나의 조소와 거만은 한나에게 큰 스트레스가 됐을 것입니다. 자기를 사랑하여 늘 풍성한 선물을 주고 위로하는 남편 엘가나, 하지만 남편의 위로도 한나의 침체를 극복하는 힘이 되지는 못합니다. 한나는 실로로 예배하러 간 그 가족행사에서 홀로 일어나 하나님께 나아갑니다. 그녀는 슬피 울면서 자신의 처지를 아룁니다. 이어서 서원하며 기도합니다. 10절, “흐느껴 울면서,” 12절, “계속하여 기도”라는 구절을 볼 때 한나의 기도는 애절하고 비장했던 것 같습니다.

 

나실인의 서원

자칫 잘못 생각하면 한나가 절실하게 기도했고, 더욱이 하나님께 서원을 했기에 하나님이 그의 기도를 들어주셨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나가 서원한 내용이 무엇인가, 이를 생각하면 절실한 서원 기도보다 더 중요한 게 있음을 알게 됩니다. 나실인이란 ‘하나님께 바쳐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나에게 아들을 주신다면 그 아들은 한나의 아들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소유)입니다. 내 아들인데도 하나님의 소유라고 한다면, 이 말은 내가 낳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아들을 낳았어도 그 아들이 내가 낳은 아들이 아니오, 하고 공공연하게 약속하는 것이 나실인 서원이라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한나는 지금 아들을 얻기 위해서 떼를 쓰고 있는 것입니까, 아니면 주실 수도 안 주실 수도 있는 주권자 하나님을 높이고 있는 것입니까? 하나님께서 한나의 기도를 들으신 것은 그 기도의 절실함과 서원 때문이 아니라, 그가 하나님을 바로 알고 바로 기도했기 때문입니다.

 

후세에 얻는 교훈

2장에서 한나는 하나님을 노래하는데, 이 노래에는 그녀가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알았는지 우리에게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1)한나의 하나님은 거룩한 분이었다(2절). 하나님의 거룩함은 그저 우리의 죄를 벌주시는 성품 정도가 아닙니다. 그가 거룩하시다는 것은, 그가 우리를 위해 하시는 일이 절대적으로 옳고 선하다는 뜻입니다.

2)한나의 하나님은 지식이 있는 분이었다(3절). 하나님이 옳고 선한 일을 하실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것은 그에게 지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식의 하나님을 아는 지식(Knowing God)! 신앙의 견고함은 여기서 옵니다.

3)한나의 하나님은 능력이 있는 분이었다(6절). 하나님은 온 우주를 지으시고 그 위에 홀로 계신 분입니다. 이 분이 뜻하시는 바는 반드시 이뤄집니다. 거룩, 지식, 능력. 하나님의 이 세 속성(성품)을 제대로 깨닫고 기도하지 않으면 오히려 우리는 더 큰 혼란과 두려움에 빠질 것입니다.

 

기억을 위한 복습 질문

1. 한나는 _______의 고통, 영적 _________ 부재의 고통, ________의 고통을 겪었습니다.

2. 브닌나는 한나를 ________했습니다. 엘가나는 한나를 사랑하여 _______했지만, 그의 침체를 극복하게 할 수 없었습니다.

3. 한나의 기도는 _______했고, 아들을 주시면 ____________으로 드리겠다는 _______을 동반한 기도였습니다.

4. 나실인 서원은 아들을 얻기 위한 방편이 아니었습니다. 한나는 이 서원을 통해 자기가 ______을 얻게 되더라도 그 아들은 ________의 소유이므로, 아들을 주실 수도 안 주실 수도 있는 온 우주의 __________ 하나님을 높였습니다.

5. 2장에 나오는 한나의 노래는 하나님을 ________, _________, _________의 하나님으로 노래합니다.

 

토의와 나눔

한나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출발했지만 그의 신앙은 현실(아들을 못 낳는 여자)을 훨씬 초월하여 성숙해졌습니다. 한나가 드린 기도를 볼 때 나의 기도생활은 어떻습니까?